
미야기현의 명문・명가에 뿌리를 가진 성씨 30선
목차
- 1 미야기현내의 명문・명가로 이어지는 성씨 30선(50음순)
- 1.1 아키호(아키우)
- 1.2 언니(아네하)
- 1.3 猪狩 (이를 규, 옥돌 현)
- 1.4 이시카와(이시카와)
- 1.5 이시모다(이시모다)
- 1.6 이치쿠리
- 1.7 일력(이치리키)
- 1.8 씨가(우지이에)
- 1.9 엔도(엔도)
- 1.10 오쿠라(오쿠라)
- 1.11 오사키(오사키)
- 1.12 가사하라
- 1.13 카타쿠라(가타쿠라)
- 1.14 김성
- 1.15 쿠마가야
- 1.16 구로카와(쿠로카와)
- 1.17 고쿠부 (코쿠부)
- 1.18 오타니(코타니)
- 1.19 삼분 한 곳(산부이쇼)
- 1.20 시라이시(시로이시)
- 1.21 타지키(다다키)
- 1.22 다테(다테)
- 1.23 요시쿠인
- 1.24 모노
- 1.25 토미자와(토미자와)
- 1.26 후지사키(후지사키)
- 1.27 명진(명초)
- 1.28 茂庭 (모니와 정)
- 1.29 부재(루스)
- 1.30 亘理
일본 전역의 모든 곳에서는 소위 "현지 유명한 사람들"이라는 소문이있는 유명하고 유명한 가족이 있습니다. 당신이 "우리는 매우 평범한 가족"이라고 말해도, 당신이 우리 조상을주의 깊게 추적한다면, 그들은 실제로 유서 깊은 사무라이의 가족에 속한다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미야기현내 각지의 명문·명가라고 불리는 성에 대해 조사해 보았습니다. 「동급생에게 그런 성씨의 사람이 있었구나…
미야기현내의 명문・명가로 이어지는 성씨 30선( 50 음순)
미야기현의 명가는, 대대로 현지에 뿌리내리고 있던 국중을 뿌리로 하는 가문이 많습니다만, 전국시대, 현남으로부터 세력을 뻗은 다테씨와 현 북쪽의 오사키씨, 연안부의 카사이씨의 어느 쪽에 속하는 인상입니다.
아키호(아키우)
육오국 나토리군의 국중. 원래는 헤이케의 낙인이었다는 전승이 남는다. 현재의 아키호 온천 주변 지역이며, 현재도 지명으로 남아 있는 아키호향의 다섯 마을(바바, 신카와, 나가부쿠로, 사카노, 유모토)을 다스리고 있던 것으로부터 아키호 씨를 자칭한다. 에도시대에 준류가 센다이번의 중신이 된다.
정부 발표 통계 및 전국 전화 번호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국의 명자 인원수를 게재하고 있는 명자 유래 net 에 따르면, 현재에도 전국에 약 2,000명의 아키호씨가 존재하고, 야마가타, 홋카이도, 미야기 순으로 많아지고 있다.
언니(아네하)
육오국 구리하라군 니박의 언니성 성주. 조상은 오슈 후지와라씨 4대 당주 후지와라 태형(후지와라의 야스히라)의 가신 이었다고 전해진다. 오사키 씨에 따라 있었지만, 나중에 다테 마사무네를 섬긴다.
정부 발표 통계 및 전국 전화 번호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국의 명자 인원수를 게재하고 있는 명자 유래 net 에 따르면, 현재는 전국에 200명 정도밖에 없는 희귀한 성으로, 그 중 100명 이상이 미야기현에 집중하고 있다.
猪狩 (이를 규, 옥돌 현)
혼요시군 게센누마(현:게센누마시)에서 요코타야라고 호한 호상. 대대로 당주가 신베에를 칭해 환선 도매상을 운영하고, 상선 조난에서 김 제조로 돌아가 성공, 유신 후에는 제염업을 영위했다.
이시카와(이시카와)
센다이 번일문의 전전국 다이묘. 육오수원요의에 따라 전 9년의 역에 종군한 군공으로부터 이시카와군(현:후쿠시마현 이시카와군)을 배령해 이시카와씨를 칭한 것이 시작.
오랜 세월에 걸쳐 독립 다이묘였지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슈 마치에서 개역. 이것에 의해 다테씨 가신이 되어, 육안국 이구군 카도다(현:미야기현 카쿠다시)에서 21,000석을 받았다. 에도시대에는 센다이번 속에서 일문 수석 자리에 있었다.
이시모다(이시모다)
센다이 번의 중신. 가마쿠라 시대에 다테가 초대인 다테 아사무네에 따라 오슈 합전에 종군, 리쿠오쿠니 다테군 이시모다(현:후쿠시마현 다테군 구니미초)에 살고 이시모다를 칭하게 되었다.
이치쿠리
陸奥国玉造郡의 국중. 「하나 만들기」라고도. 오사키씨의 중신으로, 이치구리 방규소와 그 손자의 다카하루가 저명. 1591년 카사이·오사키 카즈히로에 일소 측 세력으로서 92세의 고령으로 출진한 방우는 사누마성에서 토사. 손자의 다카하루는 오사키씨 멸망 후 야마가타의 최상 요시미츠를 섬겼다.
현재의 미야기현 오사키시 이와데야마시타 이치구리에 이치구리씨가 근거한 이치구리 성터가 존재한다.
일력(이치리키)
센다이의 오마치 고쵸메에 가게를 짓고, 오오타케 좌우조와 함께 센다이의 2대차상이라고 불린 센다이의 지방재벌. 메이지 유신 후에 허베이 신보사를 창립, 전후에는 도호쿠 방송을 창립했다.
씨가(우지이에)
陸奥国玉造郡의 국중. 이와데야마성 성주. 남북조 시대에 오슈 탐제로 임명되어 하향한 斯波家兼(시마 이에네)에 따라 오슈에. 요요 사나미씨의 일족인 오사키씨의 가신으로서 이와데야마성을 다스리고 있었다.
오사키씨 멸망 후에는 다테씨의 가신이 된다.
엔도(엔도)
센다이 번숙로에서 이치하쿠가와구치(현 : 구리하라시 이치하쿠) 영주. 전국 시대에 다테 휘종을 섬긴 엔도 기신이 조. 이후 대대로 숙로의 가계로 에도시대 이후에 이치하쿠가와구치를 맡는다. 후손은 戊辰 전쟁 후 시오가마 신사의 궁사를 맡는다.
오쿠라(오쿠라)
육오구니 미야기군 오쿠라(현:센다이시 아오바구 오쿠라)의 국중. 기요와 겐씨, 겐요 켄(모니모토의 요코타타)의 아이로 키소 요시나카(키소요시나카)의 형제에 해당하는 중의라는 인물이 이 땅에 숨어 살고 오쿠라 씨를 자칭했다고 하지만 진위는 불명.
고쿠분 씨, 나중에 다테 씨를 섬기는데 카사이·오사키 카즈히로에서 당주 토사에 의해 단절. 혈맥은 쿠마가네세키(현:센다이시 아오바구 쿠마가네)로 옮겨 살고 세키씨로 개칭했다고 한다.
오사키(오사키)
육오 오사키 5군(시다군·다마조군·가미군·토다군·구리하라군)을 지배한 전국 다이묘. 남북조 시대에 오슈 관령으로서 오슈로 하향한 斯波家兼(시바 이에카네)를 시조로 하는 斯波씨의 일족.
가겸의 적남인 나오치(다다모치)가 자신의 조상인 아시카가 씨(아시카가 말하는 우지)가 맡고 있던 시모소고쿠 카토리군 오사키소(지바현 카토리시)에 의해서 「오사키」를 칭하게 되어 오사키씨 초대 당주가 된다. 지류에는 모가미씨, 텐도씨 등이 있다.
전국 시대가 되면 점차 쇠퇴, 대두해 온 다테씨의 산하가 되더라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공격에 참진하지 않았기 때문에 후의 오슈 마치에 의해 소령을 몰수되어 멸망했다.
가사하라
리쿠오쿠니 시다군의 국중. 시나노국 이나군 카사하라(현:나가노현 이나시)의 출로에서 기소 요시나카(키소요시나카)의 후예라고 한다. 미야자키성(현:미야기현 카미군 카미쵸 미야자키)을 거성으로 대대로 오사키씨를 섬긴다. 오사키씨 멸망 후는 다테씨를 섬기고, 에도시대에는 센다이번의 중신이 되었다.
카타쿠라(가타쿠라)
시나노국 이나군 카타쿠라무라(현:나가노현 이이다시 주변)에 살고 있었지만 오사키씨에 따라 오슈에 내렸다고 전해지고 있다. 센다이 번 카타쿠라 씨 초대인 카타쿠라 케이츠츠루는 다테 마사무네에게 측근으로 섬기고, 이 달성실과 함께 군략에 관여했다고 한다.
후손은 대대로 일국 일성의 예외적 조치로 남겨져 있던 시라이시성에 살고 있었지만, 에도시대 말기의 戊辰 전쟁의 패전에 의해 지행과 시라이시성을 몰수되어, 신천지를 요구해 홋카이도 개척에 향해, 현재의 노보리베츠시와 삿포로시 시라이시구의 개척에 공
김성
육오국 구리하라군 김성(현:미야기현 구리하라시 김성)의 국중. 헤이안 시대 후기의 육오국의 호족인 김위시의 자손이 김성으로 옮겨 김성씨를 칭했다고 한다. 오사키씨, 카사이씨, 모가미씨와 섬기고, 모가미씨 개역 후는 센다이 번사가 되었다.
정부 발표 통계 및 전국 전화 번호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국의 명자 인원수를 게재하고 있는 명자 유래 net 에 따르면, 현재는 전국에 4,000명 정도의 김성씨가 존재하고, 그 중 약 1,700명이 후쿠시마현, 특히 이와키시에 집중하고 있다.
쿠마가야
육오국 게센군의 국중. 1189년에 가마쿠라 막부의 고인인 구마가야 나오쿠니(쿠마가이오쿠니)의 동생 직종이 하향해 아카이와성(현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마쓰카와)에 근거한 것이 조로 된다. 카사이씨를 섬기고 많은 일족이 분립해 게센군을 중심으로 세력을 넓혔다.
일족끼리의 싸움이 자주 일어났지만, 혈맥은 나중에 다테씨를 섬기고 센다이 번사가 되고 있다.
구로카와(쿠로카와)
육안국 구로카와군의 국중. 사나이 일문·오사키씨 분가의 모가미씨 일족으로, 사나미씨의 서류근이기 때문에 오사키씨 麾下의 국인 영주로서 무거웠다. 16세기 초기에 다테씨에 복속했지만, 9대 당주 구로카와 하루루는 다테가 측인 유수 정경에 딸을 아내가 하는 한편으로, 오사키 요시나리의 아이·요시야스를 입양으로 맞이하는 등, 오사키씨·다테씨의 쌍방에 배려를 빠뜨리지 않았다.
그러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한 오다와라 정벌에 참진하지 않은 것으로 오슈 마사지에서 개역되어 다테씨를 섬긴다. 11대 계씨의 사망 후 무각 단절이 되었다.
고쿠부 (코쿠부)
육오국의 육오 고쿠분지 부근에서 미야기군 남부, 현재에서 말하는 센다이시 아오바구~미야기노구 부근을 중심으로 세력을 가지고, 다테 마사무네가 거점으로 하는 이전의 치요성(후의 센다이성)을 거점으로 하고 있던 국중.
전국 시대 말기에 다테씨로부터 고쿠분(다테) 성중을 맞아 다테씨에 신종하게 되었지만, 1596년에 다테 마사무네의 불흥을 사, 다이묘로서의 고쿠분씨는 멸망. 그 후 모리시게는 상륙국의 사타케 씨에게 몸을 들였고, 후손은 아키타의 쿠보타번으로 막부 말까지 존속했다.
오타니(코타니)
센다이 성하의 호상. 오미 히노 상인 오타니 쇼자부로의 지점으로서 고쿠분초에서 개업.
약종, 세토물을 취급해 호상으로 발전해, 에도시대 후기의 「덴포의 대기근」 때에는, 번명으로 상방에 쌀의 매입이나 자금 조달의 협상에 가득한 호상 6명 중의 1명이기도 하다.
삼분 한 곳(산부이쇼)
오슈 합전의 공적으로부터 모모세군 후카야호(현:히가시마츠시마시·이시노마키시)를 주어진 나가에씨를 뿌리로 하고, 더욱 추적하면, 타케부히라씨 가마쿠라 경정을 조로 하는 가마쿠라씨의 적류의 혈맥.
전국 말기, 나가에씨 마지막 당주인 나가에 카츠카게가 영토를 3분할해, 차남의 경중이 야모토 경중으로서 야모토성(현:히가시마쓰시마시 야모토)에, 그리고 3남의 가경이 삼분일소 가경으로서 삼분일소성(현:히가시마쓰시마시 아사이)에 들어갔다.
나가에의 본가근은 멸망했지만, 삼분일소씨는 에도시대 이후에도 센다이 번사로서 존속했다.
정부 발표 통계 및 전국 전화 번호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국의 명자 인원수를 게재하고 있는 명자 유래 net 에 의하면, 현재 전국에 10~20명 정도밖에 없는 초희소 성자로, 나라현과 시즈오카현에 약간 보인다.
시라이시(시로이시)
가조·카리타 케이모토는 후지와라 케이요시의 아들로, 오슈 후지와라씨 초대·후지와라 청형 의 동모 형제라고 여겨지고 있다. 경원은 후 3년의 역을 청형과 함께 싸우고, 전후, 하치만타로의 통칭으로 유명한 원의가로부터 카리타·이구의 양군을 주어져, 카리타군 시라이시에 토착해 카리타씨를 칭했다. 시라이시씨를 자칭하기 시작하는 것은 제6대 당주·히데나가의 무렵부터로, 그 후 다테씨보다 입양을 맞이한 것으로 그 관계가 밀접해져 간다.
다테 마사무네의 조조부에 해당하는 다테 쇼종이 당주가 된 무렵부터 다테씨의 산하가 되어, 마사무네의 통치 시절부터 등미군지 이케성(현:미야기현 등미시)을 영위한다. 1615년의 오사카의 진에서 시라이시 무네나가가 그 군공에 의해 일문에 줄 수 있어 다테 성의 자승을 허락받아, 이후는 「등미 다테가」 를 자칭했다.
타지키(다다키)
센다이번의 중신으로 타치바나 성을 칭해 대대로 다테가를 섬겼다.
막부 말기의 센다이 번가 노였던 타지기 토사 세이유키가 번론을 사막에 통일해 ‘오쿠와고시 열번 동맹’ 의 결성에 진력했지만, 전후에 패전의 전 책임을 지고 아자부의 센다이 번저택에서 처형되었다.
다테(다테)
육안의 전국 다이묘. 가마쿠라 시대에 고가인이었던 다테 아사무네가 오슈 합전에서 노부오군(현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의 사토 기치를 공략한 공적으로부터 육오국 다테군(현 후쿠시마현 다테시)을 주어 다테라고 칭한 것이 시작으로 그 이전에는 나카무라를 자칭했다고 한다.
15대 당주 다테하루무의 시대에 거점을 요네자와성(현: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로 옮겨, 17대 당주 다테 마사무네의 시대에 니혼마쓰시, 아나나씨를 토벌, 오사키, 타무라, 이시카와, 시라카와 등의 도호쿠 제 다이묘를 따르고 다테씨 최대의 판도를 쌓는다.
그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슈 마치에 의해 거점을 이와데야마(현:미야기현 오사키시)로 옮겨, 세키가하라 합전 후의 1601년에 센다이로 옮긴다. 에도시대에는 센다이 번주 가 된다.
요시쿠인
육안국 다테군 요시쿠인(현:후쿠시마현 다테시)을 뿌리로 한다. 다테씨를 따르던 나카지마씨의 가신으로, 전국시대에 나카지마 무네모토가 주군·다테키무네보다 가나야마성(현:이구군 마루모리마치 가나야마야 지키토)의 성주로 임명됨과 동시에 동지로 옮겼다.
정부 발표 통계 및 전국 전화 번호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국의 명자 인원수를 게재하고 있는 명자 유래 net 에 의하면, 현재 전국에 50명 정도밖에 확인되지 않은 희소한 성묘로, 그 중 약 20명이 미야기현, 특히 이구군 마루모리마치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모노
육안국 겐타군의 국중. 오사키씨의 서류로, 요요 모쿠로성(현:미야기현 오사키시다지리)을 거점으로서 오사키씨를 섬겼다.
정부 발표 통계 및 전국 전화 번호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국의 명자 인원수를 게재하고 있는 명자 유래 net 에 의하면, 현재도 미야기현에 비교적 많은 성씨로, 특히 구로카와군 대형촌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토미자와(토미자와)
육오국 구리하라군의 국중. 카사이씨의 서류라고 한다. 카사이씨와 오사키씨의 경계에 해당하는 구리하라군 토미사와(현:미야기현 구리하라시 구리코마 이와가사키)의 이와가사키성(쓰루마루성)을 거점으로 하고 있었다.
나중에 이와테의 하나마키로 옮겨 에도시대는 남부 번사가 되었다.
후지사키(후지사키)
센다이 성하에서 히노야라고 호한 호상.
1819년에 초대 사부로스케가 독립하여 태물상 「득가주야(에비스야)」를 창업. 에도막부 말기에는 센다이 성하를 대표하는 호상으로 발전해 유신 후에 주식회사 후지사키 오복점으로 개조, 1930년에는 「후지사키」 라고 개칭해 백화점이 되었다.
명진(명초)
갑옷사 . 헤이안 시대 말기에 근위 천황으로부터 명진의 성을 주어졌다고 한다. 무로마치 시대에 17대 명진 신가가 다케다 신겐을 섬기고 「명인」이라고 불린다. 16세기에 오다와라, 에도시대에 에도로 옮겨 정주한다.
전국 각지에 펼쳐지는 일문 중에서도 센다이 명진가는 특히 유명하고 센다이 번가로인 카타쿠라가를 섬기고 있었다.
茂庭 (모니와 정)
원래는 오니가와라고 자칭한 후지와라 키타 가토히토 사이토 씨의 흐름을 끄는 일족으로, 다테가 8대 당주 다테 무네의 전투에 오니마타 씨가 선봉을 맡았다는 기록이 남을 정도로 옛부터 다테가의 가신.
오니마타씨 11대 당주의 양직(좌월재)의 시대에 다테가 중신의 지위를 확립. 그 후, 적남의 츠나모토가 마사무네로부터 봉행직을 배명. 츠나모토는 나중에 이 달성실, 카타쿠라 코쥬로 경강과 나란히 다테 삼걸이라고 불렸다 .
그리고 이 츠나모토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마음에 들어 「정원에 악마가 있는 것은 연기가 나쁘다」라고, 히데요시의 생명에 의해 귀신 뜰에서 시바야마로 개성 했다고 한다.
부재(루스)
유수씨는, 후지와라 키타가 후지와라 미치카네의 현손이라고 칭한 이자와 가케이(이사와 이에카게)를 조로 하는 사족으로, 오슈 정벌 후의 1190년에 가경이 겐토쿠조로부터 육오국 유수직에 임명되어, 후손이 그 지위를 세습한 것으로부터 역직을 그대로
13대의 유수지가 이후, 다테씨로부터 입양자가 차례차례로 보내져 그 영향하에 들어간다. 에도기에는 다테가의 일문으로서 다테로 개칭해 미즈사와를 영위해 「미즈사와 다테가」 라고 불렸다. 유신 후에는 부재중에 복성하여 사족이 된다.
亘理
가마쿠라 막부의 어가인, 치바 상원의 3남·타케이시 아츠모리가, 오슈 합전으로 아버지가 얻은 소령으로부터 우다·이구·타리의 3군을 분여되어, 그 증손·소카와가 료리에 들어간 것이 시작. 7대 당주 히로카즈의 무렵부터 료리씨를 칭한다.
전국 시대에 급속히 세력을 확대하고 있던 다테 야무네의 산하에 들어가 16대 당주 亘理宗隆에 남자가 없었기 때문에, 다테 린종에게 아내가 둔 딸과의 사이에 태어난 모토무네를 양예자로 하고, 모토무네가 료리씨 17대 당주가 된다.
17대 당주 정종의 시대에 다테 성이 주어져 다테 일문에 열었고, 에도 시대에는 도다군 와쿠다니 요해를 중심으로 2만2600석을 지행해 '와쿠다니 다테가' 를 칭했다.
참고서적: 47 도도부현 당지문화백과·미야기현 – 마루젠 출판